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uritius_FA.png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Mauritius national football team
정식명칭Mauritius national football team[1]
FIFA 코드MRI
FIFA 랭킹177위[2]
협회모리셔스 축구 협회 (MFA)
연맹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감독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피디 라소아나이보 (Fidy Rasoanaivo)
주장케빈 장루이 (Kevin Jean-Louis)
최다출전자앙리 스페빌 (Henri Speville) - 72경기
최다득점자다니엘 앵베르 (Daniel Imbert) - 17골
홈 구장조지 5세 경기장 (Stade George V, 6,500석)[3]
첫 국제경기 출전VS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위니옹 (2:1 승)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947년)
최다 점수차 승리VS 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위니옹 (15:2 승)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950년)
최다 점수차 패배VS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0:7 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카이로 (2003년 6월 8일)
VS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0:7 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뱅크 (2008년 7월 19일)
VS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0:7 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다카르 (2010년 10월 9일)
별칭Club M, Les Dodos (도도새)
네이션스컵출전 1회 (1974)

유니폼어웨이
상의하양빨강
하의하양빨강
양말하양빨강
1. 개요
2. 역대전적



1. 개요[편집]


모리셔스를 대표하는 축구팀.

홈구장은 조지 5세 경기장이며 감독은 마다가스카르 출신인 피디 라소아나이보이다. 클럽 M(Club M)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출전한 기록은 없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1회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조별리그에서 탈락하였다.

2021년 기준으로는 아프리카 축구연맹국 기준으로 남수단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긴 하지만, 총점 포인트 20점 내외의 근소한 차로 지고 있는 수준이고, 평균 랭킹은 156위로 이는 남수단(2021년 기준 173위)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니만큼 피파 랭킹으로는 서로가 서로에게 라이벌 국가인 셈이 된다.

여담이지만 공항 입국장에 자국 축구선수 영웅 사진이 있고 그에게 돈을 걸라는 도박 광고가 길게 있다...

한때,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소속으로 유로챔피언스리그에 나갔던 린지 로즈(Lindsay Rose, 2021년 레기아 바르샤바로 이적.)와 데이비 프랜시스가 이 나라 소속이다.

현재 2022년 기준 유니폼 스폰서는 아디다스이다.


2. 역대전적[편집]



2.1. FIFA 월드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승점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영국의 지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예선 탈락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불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예선 탈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출전정지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불참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예선 탈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예선 탈락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예선 탈락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기권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합계본선진출 없음0/14[4]


2.2. 네이션스컵[편집]


대회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영국의 지배)
파일:시리아 국기.svg
1959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파일:가나 국기.svg
1963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예선 탈락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예선 탈락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조별리그8위0300328
파일:에티오피아 국기 (1975–1987).svg
197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1978
예선 탈락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예선 탈락
파일:리비아 국기(1977–2011).svg
1982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기권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예선 탈락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불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합계본선진출 1회1/24030032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3:14:41에 나무위키 모리셔스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2] 2023년 10월 기준https://www.fifa.com/fifa-world-ranking/MRI[3] 여담으로 이 경기장의 관중석은 16줄로 이루어져있는데 위의 네줄은 빨강, 그 아래 4줄은 파랑, 그 아래 4줄은 노랑, 맨 아래 4줄은 초록으로 모리셔스의 국기를 나타내고 있다.[4]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